도서관

본문 바로가기


상세정보

무질서의 효용 : 개인의 정체성과 도시 생활 / 리처드 세넷 지음 ; 유강은 옮김

  • 9788996898450;03300: \16000
  • kor eng
  • 002 리83ㅁ
  • 무질서의 효용 : 개인의 정체성과 도시 생활 / 리처드 세넷 지음 ; 유강은 옮김
  • 서울 : 다시봄, 2014
  • 279 p. ; 21 cm
  • 원저자명: Richard Sennett
  • 색인수록
  • 도시 사회학[都市社會學]
  • 도시사회학,무질서,정체성
  • Sennett, Richard, 1943-
  • 유강은
  • \16000
등록번호별치청구기호대출가능소장위치
BK000770C5002/리83ㅁ비치도서
요 약
예일대학출판부판 서문
 서론

1부 새로운 청교도주의

1장 순수한 정체성
 순수한 정체성의 등장 | 청소년이라는 시기 | 질병으로 간주되는 순수를 향한 욕망

2장 순수한 공동체라는 신화
 새로운 청교도 윤리 | 순수한 공동체라는 신화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신화의 사회적 구조 | 신화에서 풍요의 역할 

3장 도시는 어떻게 신화를 되살리는가
 다양한 접촉점 | 좁아지는 접촉점 : 가족 안의 변화 | 가족의 강화에 숨겨진 순수한 정체성을 향한 충동 | 강화된 가족과 새로운 교외 | “거대한 사창가는 모두 사라졌다” | 투기장 | 도시의 새로운 사회적 공간

4장 순수한 도시를 계획하기
 오스만 남작의 꿈 | 거대한 계획들 | 순수의 신화로서의 ‘도시 전체’

2부 새로운 아나키즘

2부 서론

5장 순수한 정체성을 넘어서 성장하기
 순수한 정체성에 대한 요구와 결별하기 | 성인기와 청소년기 정체성의 차이 : 전능의 상실 | 돌봄 : 제한됨의 결과 | 성인기와 청소년기 일관성의 연속 : 우연 | 기억 | 사회적인 틀 | 가능한 성인기에서 ‘현실 세계’로

6장 도시의 활용
 생존의 공동체 : 개념 | 생존의 공동체 : 몇 가지 사례 | 생존의 공동체와 폭력 | 생존의 공동체와 성인기 | 도시로서의 생존의 공동체 | 몇 가지 행동 제안 | 새로운 도시 제도

7장 아나키 체제로서의 도시
 풍요가 가진 몇 가지 사회적인 가능성 | 직접적인 공격을 통한 안정 | 사람들은 왜 새로운 도시를 원하게 될까? 

8장 결론 : 무질서 속의 평범한 생활
예일대학출판부판 서문
 서론

1부 새로운 청교도주의

1장 순수한 정체성
 순수한 정체성의 등장 | 청소년이라는 시기 | 질병으로 간주되는 순수를 향한 욕망

2장 순수한 공동체라는 신화
 새로운 청교도 윤리 | 순수한 공동체라는 신화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신화의 사회적 구조 | 신화에서 풍요의 역할 

3장 도시는 어떻게 신화를 되살리는가
 다양한 접촉점 | 좁아지는 접촉점 : 가족 안의 변화 | 가족의 강화에 숨겨진 순수한 정체성을 향한 충동 | 강화된 가족과 새로운 교외 | “거대한 사창가는 모두 사라졌다” | 투기장 | 도시의 새로운 사회적 공간

4장 순수한 도시를 계획하기
 오스만 남작의 꿈 | 거대한 계획들 | 순수의 신화로서의 ‘도시 전체’

2부 새로운 아나키즘

2부 서론

5장 순수한 정체성을 넘어서 성장하기
 순수한 정체성에 대한 요구와 결별하기 | 성인기와 청소년기 정체성의 차이 : 전능의 상실 | 돌봄 : 제한됨의 결과 | 성인기와 청소년기 일관성의 연속 : 우연 | 기억 | 사회적인 틀 | 가능한 성인기에서 ‘현실 세계’로

6장 도시의 활용
 생존의 공동체 : 개념 | 생존의 공동체 : 몇 가지 사례 | 생존의 공동체와 폭력 | 생존의 공동체와 성인기 | 도시로서의 생존의 공동체 | 몇 가지 행동 제안 | 새로운 도시 제도

7장 아나키 체제로서의 도시
 풍요가 가진 몇 가지 사회적인 가능성 | 직접적인 공격을 통한 안정 | 사람들은 왜 새로운 도시를 원하게 될까? 

8장 결론 : 무질서 속의 평범한 생활    

접속자집계

오늘
67
어제
372
최대
8,002
전체
553,127
도서관 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그누보드5.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서울도시건축센터
전화: 02-739-2900
이메일: sca2022@seoul.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