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본문 바로가기


상세정보

경성의 주택지 : 인구 폭증 시대 경성의 주택지 개발 / 이경아 지음

  • 9791188679072;93540: \23000
  • 030 이14ㄱ
  • 경성의 주택지 : 인구 폭증 시대 경성의 주택지 개발 / 이경아 지음
  • 서울 : 집, 2019
  • 392 p. :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지도, 초상 ; 21 cm
  • 정암총서 ; 12
  • 참고문헌(p. 382-392)과 색인수록
  • 도시 계획[都市計劃]
  • 주택지[住宅地]
  • 택지 개발[宅地開發]
  • 경성[鏡城]
  • 이경아 李炅娥, 1975-
  • 정암총서 ; 12
  • \23000
등록번호별치청구기호대출가능소장위치
BK000798C5030/이14ㄱ비치도서
요 약
우리나라의 대표 한옥단지, 가회동과 건축왕 정세권
 우리나라의 대표 한옥단지, 가회동 | 건축왕이자 민족운동가, 정세권 | 정세권은 왜 한옥에 주목했나 | 정세권의 브랜드 주택, 건양주택 | 20세기 한옥박물관, 가회동 31번지와 33번지 | 
중당식 주택과 중정식 주택의 결합 실험 | ㄷ자 표준형 주택 실험 | 다양한 형태의 주택 실험 | 가회동 사람들 | 가회동 한옥단지의 가치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북촌의 서양식 주택
 북촌은 한옥마을이 아니다 | 조선인 상류층 우종관과 문화주택 | 서양식 이층집, 문화주택에 대한 환상과 열기 | 우종관이 지은 두 동의 서양식 주택 | 서양식 주택을 향하여 | 일본식 중복도형 평면 | 그래도 온돌은 못 버려 | 조선인 상류층의 ‘삼중생활’

서울의 중심, 인사동 일대의 변화와 박길룡의 조선 주택개량운동
 서울의 중심, 인사동 일대 | 일제강점기 인사들의 주택 개량에 대한 고민 | 박길룡과 과학운동 | 조선 주택 조사와 문제점 인식 | 조선가옥건축연구회의 설치와 주택개량운동 | 문화주택 비판 | 중정식 배치냐, 집중형 배치냐 | 부엌의 개량 | 온돌의 개량 | 변소를 비롯한 기타 개량 | 박길룡 조선 주택 개량의 종합안 | 박길룡 조선 주택 개량안의 실제, 민병옥 가옥과 각심재

다이너마이트로 만든 삼청동 주택지와 김종량의 하이브리드 실험주택
 신성하고도 수려한 동네, 삼청동 | 다이너마이트로 만든 주택지, 갈등과 대립 | 건축가이자 정치가, 언론인 김종량 | 초기 실험작, 혜화동 주택 | 김종량의 대표작, 삼청동의 하이브리드 주택

이상적 건강주택지, 후암동
 조선인의 가회동 vs. 일본인의 후암동 | 건강한 주택지를 찾아서 | 조선인의 후암동에서 일본인의 삼판통으로 | 농사짓던 땅이 경성 최고가의 고급 주택지로 | 후암동 주택지 개발의 시작, 조선은행 사택지 | 경성의 3대 주택지, 학강 주택지 | 그외 주택지 개발 | 후암동의 문화주택 | 서양식 주택으로 보이도록 | 일본식 주택 계획의 관성 | 일본인의 온돌 수용 | 오카베집 또는 적산가옥의 변화

한양도성의 훼철과 고급 교외 주택지 개발, 장충동
 조선의 수도 한양의 경계, 한양도성의 운명 | 조선시대의 미개발지, 남소동 | 국가 제사시설 장충단이 공원으로 | 요정과 유곽의 등장 | 교외 주택지 개발 | 주택지 개발의 동진을 알린 첫 주택지, 소화원 주택지 | 국유림 해제 및 불하와 함께 탄생한 주택지, 남산장전고대 주택지 | 국책회사에 의한 고급 주택지 조성, 장충단 주택지 | 최신 고급 주택의 각축장 | 해방 후 고급 주택지 장충동의 위상

그들의 전원주택지, 신당동
 전원주택지의 탄생 | 전원, 전원도시, 전원주택의 개념 | 전원도시 개념의 유입 | 
국책회사에 의한 전원주택지 개발 | 모델하우스 전시와 분양 팸플릿, 주택도집 발간 | 
전원주택지 탄생의 명과 암 | 남산주회도로 부설과 한남동 개발

경성의 학교촌과 조선인의 문화촌, 동숭동과 혜화동
 서울의 오래된 학교촌, 그리고 조선인의 문화촌 | 조선시대 최고의 국립 교육기관 성균관의 소재지 | 백동수도원으로부터 시작된 천주교 타운의 형성 | 경성제국대학의 건립과 그 영향 | 
관립학교에서 개발한 관사지 | 경성제국대학 교수들의 문화주택지, 약수대 | 
조선인들의 문화촌 형성과 실험적인 주택

한양도성 밖 첫 한옥 신도시, 돈암지구
 의외의 한옥단지 | 조선시가지계획령의 공포와 경성의 토지구획정리사업 | 경성의 첫 토지구획정리지구, 돈암 | 한양도성 밖 첫 한옥 신도시의 탄생 | 돈암지구 한옥단지의 개발자들 | 돈암지구 내 주목할 만한 한옥: 2층 한옥, 연립한옥, 돈암장 | 돈암지구에 대한 기억

한강 너머의 이상향, 흑석동 그리고 토지 투기의 확산
 노량진과 동작진의 사이, 흑석리 | 한강철교와 한강인도교, 한강신사의 건립 | 장수촌이자 별장 주택지를 지향한 명수대 주택지 | 계획의 변경, 학원도시의 조성 | 병참기지정책에 따라 서쪽으로 번지는 토지 투기 열풍

최신 주거문화의 전시장, 충정로
‘최초’라는 수식어가 많이 붙는, 한양도성의 서쪽 | 경성의 또 다른 3대 주택지, 금화장 |
서북쪽으로 퍼져나가는 주택지 개발 | 수직으로 적층된 새로운 주택, 아파트 | 
일제강점기 경성의 아파트 | 최고(最古)의 철근콘크리트조 아파트, 충정아파트 |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한 고급 주택, 죽첨장 또는 경교장

관에서 개발한 주택지, 관사단지와 영단주택지
 관사와 관사단지 | 일본인들의 북진과 관사단지 조성 | 궁궐 내 관사단지 개발 | 관사의 건축적 특징 | 조선주택영단의 설립과 영단주택의 공급    

접속자집계

오늘
344
어제
372
최대
8,002
전체
553,404
도서관 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그누보드5.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서울도시건축센터
전화: 02-739-2900
이메일: sca2022@seoul.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