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본문 바로가기


상세정보

서울,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 /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기획 ; 신현준, 이기웅 편 ; 김지윤, 김필호, 신현준, 오현주, 옥은실, 양재영, 이기웅, 최영숙 [저]

  • 9791156756590;04330: \25000
  • 031 성15ㅅ
  • 서울,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 /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기획 ; 신현준, 이기웅 편 ; 김지윤, 김필호, 신현준, 오현주, 옥은실, 양재영, 이기웅, 최영숙 [저]
  • 파주 : 푸른숲, 2016
  • 503 p. : 삽화, 지도 ; 22 cm
  •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학술총서. 아시아 도시의 공간변화와 장소형성 ; 1
  • 표제관련정보: 서촌/종로3가/홍대/가로수길·사이길/한남동/구로공단/창신동/해방촌
  • 참고문헌: p. 471-503
  • 도시 사회학[都市社會學]
  • 서울(특별시)
  • 김지윤
  • 김필호
  • 신현준, 1962-
  • 양재영
  • 오현주
  • 옥은실
  • 이기웅
  • 최영숙
  •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학술총서. 아시아 도시의 공간변화와 장소형성 ; 1
  • \25000
등록번호별치청구기호대출가능소장위치
BK000799C5031/성15ㅅ비치도서
요 약
서장 서울의 젠트리피케이션, 그리고 개발주의 이후의 도시
 들어가며: ‘개발주의’, 그 이후? 
젠트리피케이션: 기원, 정의, 원인 
 젠트리피케이션과 예술/예술가, 그리고 로프트 생활 
 변이, 물결 그리고 지구화 어떤 괴리, 그리고 그 괴리의 조정 
 나가며: 서울의 젠트리피케이션 세대 

1부 오래된 서울의 새로운 변화: 서촌, 종로3가
1장 서촌: 도심에 남은 오래된 동네의 고민
 들어가며: 젠트리피케이션, 서울에 도착하다
 젠트리피케이션 개념의 탈맥락화와 재배열 
 서촌 또는 오래된 서울의 가까운 과거 
 토박이부터 자영업자까지, 서촌을 만드는 사람들 
 나가며: 서울 구도심 마지막 남은 동네의 운명 

2장: 종로3가 섬이 되어버린 서울 미드타운
 들어가며: 낙후, 쇠퇴, 노후의 상징이 된 종로3가 
 종삼, 성性의 역사 
 종로3가, 정체의 장소로 만들어지다 
 노인들의 파라다이스 
 돈의동 쪽방촌 익선동의 화려한 변화 
 나가며: 종로3가 노인들과 익선동 젊은이들은 안전한가 

2부 세 개의 핫 플레이스, 서로 다른 궤적: 홍대, 신사동 가로수길과 방배동 사이길, 한남동
3장 홍대: 떠나지 못하는 문화유민
 들어가며: 홍대에서 일어난 젠트리피케이션과 전치 
 젠트리피케이션 이론의 한계: 그 이후의 문제 
 재개발, 젠트리피케이션, 홍대 
 홍대 상권의 팽창? 홍대화되는 동네들 
 전치되었으나 떠나지 않는 이들의 궤적 
 대안문화에서 대안경제로: 대안적 주체들의 욕망, 윤리, 장소 
 나가며: 전치는 끝이 아니다 

4장 신사동 가로수길과 방배동 사이길: 강남의 역류성 젠트리피케이션
 들어가며: 강남 개발과 젠트리피케이션의 탈식민화 
 강남 개발: 신축 젠트리피케이션인가, 한국판 교외화인가 
 마지막으로 도착한 첫 번째 물결: 강남의 역류성 젠트리피케이션 
 신사동 가로수길: 강남 배후지의 고속성장 
 방배동 사이길: 대안적 도시화의 가능성 
 나가며: 역류성 젠트리피케이션의 속도와 폭 

5장 한남동: 낯선 사람들이 만든 공동체
 들어가며: 한남동, 분쟁지역이 되다 
 길, 장소가 되다: 우사단길과 한강진길 
 공간, 장소 그리고 행위자: 한남동의 다양한 창의계급 
 한강진길: 문화적 기획 또는 경제적 기획 
 우사단길: 소수자와 공동체 
 나가며: 리움부터 구탁소까지 

3부 ‘정책 없는 재생’에서 ‘재생 없는 정책’으로: 구로공단, 창신동, 해방촌
6장: 구로공단 전신성형, 그리고 유리빌딩의 환청
 들어가며: 의문의 간극 
 시시한 말다툼을 넘어서 
 구로동맹파업, 나이키 신발, 젠트리피케이션 
 반半지하, 현존하는 부재 , 후기 산업의 유령들 
 나가며: 유령의 회귀를 위하여 

7장:창신동 글로벌 도시만들기와 도시재생 사이
 들어가며: 도시재생 선도지역이 된 봉제마을 
 창신동을 둘러싼 서울시의 경합과 문화적 실험 
 도시재생은 과연 선한 정책인가 
 창신동의 역사: 동대문시장과 봉제마을 
 창신동의 공간: 봉제공장에서 한양도성까지 
 도시재생을 둘러싼 쟁점: 진정한 주민이란 
 나가며: 누구를 위한 도시재생인가 

8장: 해방촌 도시난민의 정착지 또는 실험실
 들어가며: 해방촌오거리, 이념을 넘어 
 개발압력과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해방촌, 그곳의 오래된 사람들: 1946~2005 
코스모폴리스 해방촌, 이주민의 영토 확장 
 커뮤니티 또는 사조직, 신주민의 전유물 
 나가며: 도시난민은 또다시 쫓겨날까 

 후기 서울을 생각하지 않기 
서장 서울의 젠트리피케이션, 그리고 개발주의 이후의 도시
 들어가며: ‘개발주의’, 그 이후? 
젠트리피케이션: 기원, 정의, 원인 
 젠트리피케이션과 예술/예술가, 그리고 로프트 생활 
 변이, 물결 그리고 지구화 어떤 괴리, 그리고 그 괴리의 조정 
 나가며: 서울의 젠트리피케이션 세대 

1부 오래된 서울의 새로운 변화: 서촌, 종로3가
1장 서촌: 도심에 남은 오래된 동네의 고민
 들어가며: 젠트리피케이션, 서울에 도착하다
 젠트리피케이션 개념의 탈맥락화와 재배열 
 서촌 또는 오래된 서울의 가까운 과거 
 토박이부터 자영업자까지, 서촌을 만드는 사람들 
 나가며: 서울 구도심 마지막 남은 동네의 운명 

2장: 종로3가 섬이 되어버린 서울 미드타운
 들어가며: 낙후, 쇠퇴, 노후의 상징이 된 종로3가 
 종삼, 성性의 역사 
 종로3가, 정체의 장소로 만들어지다 
 노인들의 파라다이스 
 돈의동 쪽방촌 익선동의 화려한 변화 
 나가며: 종로3가 노인들과 익선동 젊은이들은 안전한가 

2부 세 개의 핫 플레이스, 서로 다른 궤적: 홍대, 신사동 가로수길과 방배동 사이길, 한남동
3장 홍대: 떠나지 못하는 문화유민
 들어가며: 홍대에서 일어난 젠트리피케이션과 전치 
 젠트리피케이션 이론의 한계: 그 이후의 문제 
 재개발, 젠트리피케이션, 홍대 
 홍대 상권의 팽창? 홍대화되는 동네들 
 전치되었으나 떠나지 않는 이들의 궤적 
 대안문화에서 대안경제로: 대안적 주체들의 욕망, 윤리, 장소 
 나가며: 전치는 끝이 아니다 

4장 신사동 가로수길과 방배동 사이길: 강남의 역류성 젠트리피케이션
 들어가며: 강남 개발과 젠트리피케이션의 탈식민화 
 강남 개발: 신축 젠트리피케이션인가, 한국판 교외화인가 
 마지막으로 도착한 첫 번째 물결: 강남의 역류성 젠트리피케이션 
 신사동 가로수길: 강남 배후지의 고속성장 
 방배동 사이길: 대안적 도시화의 가능성 
 나가며: 역류성 젠트리피케이션의 속도와 폭 

5장 한남동: 낯선 사람들이 만든 공동체
 들어가며: 한남동, 분쟁지역이 되다 
 길, 장소가 되다: 우사단길과 한강진길 
 공간, 장소 그리고 행위자: 한남동의 다양한 창의계급 
 한강진길: 문화적 기획 또는 경제적 기획 
 우사단길: 소수자와 공동체 
 나가며: 리움부터 구탁소까지 

3부 ‘정책 없는 재생’에서 ‘재생 없는 정책’으로: 구로공단, 창신동, 해방촌
6장: 구로공단 전신성형, 그리고 유리빌딩의 환청
 들어가며: 의문의 간극 
 시시한 말다툼을 넘어서 
 구로동맹파업, 나이키 신발, 젠트리피케이션 
 반半지하, 현존하는 부재 , 후기 산업의 유령들 
 나가며: 유령의 회귀를 위하여 

7장:창신동 글로벌 도시만들기와 도시재생 사이
 들어가며: 도시재생 선도지역이 된 봉제마을 
 창신동을 둘러싼 서울시의 경합과 문화적 실험 
 도시재생은 과연 선한 정책인가 
 창신동의 역사: 동대문시장과 봉제마을 
 창신동의 공간: 봉제공장에서 한양도성까지 
 도시재생을 둘러싼 쟁점: 진정한 주민이란 
 나가며: 누구를 위한 도시재생인가 

8장: 해방촌 도시난민의 정착지 또는 실험실
 들어가며: 해방촌오거리, 이념을 넘어 
 개발압력과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해방촌, 그곳의 오래된 사람들: 1946~2005 
코스모폴리스 해방촌, 이주민의 영토 확장 
 커뮤니티 또는 사조직, 신주민의 전유물 
 나가며: 도시난민은 또다시 쫓겨날까 

 후기 서울을 생각하지 않기    

접속자집계

오늘
340
어제
625
최대
8,002
전체
536,507
도서관 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그누보드5.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서울도시건축센터
전화: 02-739-2900
이메일: sca2022@seoul.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