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본문 바로가기


상세정보

메트로폴리스 서울의 탄생 : 서울의 삶을 만들어낸 권력, 자본, 제도 그리고 욕망들 / 임동근, 김종배 지음

  • 9788983717252 03980: \18000
  • 메트로폴리스 서울의 탄생 : 서울의 삶을 만들어낸 권력, 자본, 제도 그리고 욕망들 / 임동근, 김종배 지음
  • 서울 : 반비, 2015
  • 415 p. : 삽화, 지도 ; 23 cm
  • 도시 정치 경제학[都市政治經濟學]
  • 서울(특별시)
  • 임동근, 1971-
  • 김종배
  • \18000
등록번호별치청구기호대출가능소장위치
BK000790C5022/임35ㅁ비치도서
요 약
동사무소의 출현부터 신자유주의 도시계획까지
 서울을 만들어온 통치술의 변화 _임동근
 정치지리학의 매력에 빠지다 _김종배

1 동사무소에 얽힌 정치의 비밀 17
베트남전쟁과 정치지리학의 부상 | 전염병과 동사무소의 출발
 건준과 미군정의 통치 능력 | 1949년 지방자치법과 1955년 1회 동장 선거
4?19 이후 불발된 동장 선거 | 쿠데타 세력이 생각한 동장의 자격 조건
 행정조직에서 다시 자치 조직으로?

2 행정구역 대개편과 서울의 확장 65
 1963 행정구역 개편 배경과 ‘군’의 역할 | 서울을 확장한 이유
 묘지를 가르는 경계선의 미스터리 | 전국적인 변화들 | 노동력의 이중 구조
 집과 땅에 대한 욕망이 싹트다 | 민심을 두려워한 박정희 정권의 수도 이전 계획

3 경부고속도로는 그린벨트의 어머니 105
주원 건설부장관과 경부고속도로 구상 | 체비지 매각과 말죽거리 신화
 그린벨트 도입의 진짜 이유 | 그린벨트의 효과와 영향 | 테크노크라트와 국토계획의 기능

4 아파트 장사와 재벌 143
 1960년대 아파트 담론의 시작: 최소 주택 | 와우아파트 붕괴와 서민 아파트의 몰락
 현대건설의 전성기 | 래미안 신화의 탄생 | 재벌을 끌어들여라
 해외 건설의 축소와 신도시 건설의 상관성 | 아파트는 정말로 효율적 주거 양식인가
 토목?건설 사업의 미래는?

5 아파트 분양과 중산층189
주택 로또의 두 축: 선분양제도와 분양가상한제
 분양 제도의 이상하고도 섬세한 작동방식: 0순위제부터 채권입찰제까지
 주택 로또의 진실: 막차 폭탄 | 군부 정권과 재벌 걸설사들의 밀당
 아파트 신화의 강화와 재건축 로또의 신화 | 사회 주택 정책은 어떻게 망가졌나
 주택 소유 여부와 정치적 선호도의 관계

6 서울 시민 절반의 보금자리, 다세대?다가구 주택 231
잊고 싶거나 관심 없거나 | 다세대?다가구 주택의 양성화
 누가 다세대 다가구 주택을 분양받았을까?
정부의 대응 무기: 용적율, 건폐율, 일조권, 주차장, 1가구 1주택 규제
 누더기로 관리하다 발생한 문제들 | 노동시장 구조의 변화와 주택 문제

7 메트로폴리스와 지방자치제 267
지역 권력의 재편 | 서울과 관련된 지식의 축적
 뚝섬 개발의 비하인드 스토리 | 오피스텔의 탄생과 주식 투자의 유행
 대도시 통치술의 변화: 유동화하는 인구, 정부의 분할

8 IMF 금융위기 이후의 변화 303
벤처 육성 정책과 부동산 투기의 잘못된 만남 | 테헤란 자본과 마포 자본의 격돌
 오피스 시장의 구세주, 아웃소싱과 인큐베이팅 | 화교 자본의 유입 |
분양가상한제 폐지와 용인 난개발 | 삼성의 영토 통치 | 메트로폴리스의 인프라 구축

9 신자유주의와 이중도시 345
세계 최초의 주택 PF | MB 시장의 업적들: 청계천 복원, 버스전용차로, 뉴타운
 신자유주의 도심 개발 1: 도심재창조프로젝트 | 신자유주의 도심 개발 2: 디자인 서울
 이중도시의 형성

10 새마을운동에서 마을만들기까지 381
박원순 시정의 비전은 무엇인가 | 농촌 진흥 운동으로서 일본의 마을만들기
 도시 재생 사업으로서 유럽의 마을만들기 | 현재 마을만들기 정책의 문제점
 가치 선언과 돈의 흐름을 만들기    

접속자집계

오늘
953
어제
315
최대
8,002
전체
558,546
도서관 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그누보드5.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서울도시건축센터
전화: 02-739-2900
이메일: sca2022@seoul.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