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본문 바로가기


상세정보

서울은 기억이다 : 오늘의 서울을 만든 시공간의 역사 / 연구모임 공간담화, 도시사학회, 금보운, 김윤미, 김은진, 박준형, 박현, 서준석, 송은영, 염복규, 유슬기, 이상혁, 이연경, 이진현 지음

  • 9791192085937
  • 381 공12ㅅ
  • 공간담화
  • 서울은 기억이다 : 오늘의 서울을 만든 시공간의 역사 / 연구모임 공간담화, 도시사학회, 금보운, 김윤미, 김은진, 박준형, 박현, 서준석, 송은영, 염복규, 유슬기, 이상혁, 이연경, 이진현 지음
  • 파주 : 서해문집, 2023
  • 440 p. : 삽화(일부천연색), 초상 ; 21 cm
  • 도시사학회의 연구모임이 서울 각 지역의 장소성과 공간 유형에 대한 기억을 모은 책
  •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 도시는 기억이다
  • 도시 공간[都市空間]
  • 역사[歷史]
  • 서울(특별시) 서대문 광화문 정동 청계천 을지로 종로 황학동 혜화동 여의도 강남 여의도 장위동 용산 구로
  • 서대문 광화문 정동 청계천 을지로 종로 황학동 혜화동 여의도 강남 여의도 장위동 용산 구로 주거 백화점 지하공간 하수도 도축장 유곽 깡패
  • 금보운, 琴普云, 1985-
  • 김윤미, 金閏美, 1978-
  • 김은진
  • 박준형 朴俊炯, 1977-
  • 박현, 朴賢, 1962-
  • 서준석, 徐俊錫, 1981-
  • 송은영, 1971-
  • 염복규, 廉馥圭, 1971-
  • 유슬기
  • 이상혁
  • 이연경, 李姸瓊, 1978-
  • 이진현
  • 도시사학회
  • 연구모임 공간담화
  • \27000
등록번호별치청구기호대출가능소장위치
BK002808C6381/공12ㅅ대출가능
요 약
서문

1 장소의 기억
서대문, 언덕 위 모던라이프의 명과 암
20세기 초 서대문 밖의 변화
금화장과 도요타아파트, 그리고 독신자아파트: 죽첨정 3정목에 피어난 모던라이프
서대문 밖의 또 다른 풍경: 토막촌과 빈민주택

광화문, 한국 현대사의 현재진행형 공간
광화문 또는 세종로라는 장소의 중층성
역사를 복원하는 동시에 지우는 역설의 공간|도심 고층화의 꿈이 실현되는 공간
전근대의 복원이라는 환상과 정치적 상징 동원

정동, 근대 서울의 문턱 ‘공사관 구역’
통상외교의 근거지 잡기
미국과 영국의 공관 부지 선택
미국 개신교의 선교 근거지|
외교의 중심, 공사관 구역
새로운 건축과 도로의 정비, 순환과 호흡의 근대도시계획
공사관 구역에서 대한제국의 중심으로
의화단운동과 동아시아 정세

청계천, 복개된 삶의 공간
오물이 소통하는 곳
복개 논의의 시작
본격적인 복개사업
청계고가도로의 건설
지지부진한 하수처리장 건설
‘서울이 아닌 서울’

을지로, 호텔 스카이라운지의 풍경
식민 지배의 상징, 조선호텔
오피스텔 형태의 상업호텔, 반도호텔
발밑엔 도시의 야경, 실내엔 달콤한 밀어

종로, 거리의 주인은 누구인가?
서양식 거리를 거니는 백의의 조선인들
‘기계 문명의 단말마’ 전차의 등장
3·1운동, ‘전국인민’의 각성
일상이 된 러시아워, 그리고 유실물센터
동대문, DDP 아래에 묻힌 이야기들
서울 한복판에 출현한 UFO, DDP의 탄생
해방 이전의 역사 지층
해방 이후의 역사 지층
DDP 주변의 또 다른 역사, 동대문시장
공간의 고고학

2 현장의 삶
황학동, 가난 속에 버텨 낸 삶, 공동묘지에서 만물시장으로
동교의 성저십리에서 가장 낮고 쓸모없던 지역, 이름 없는 묘지로 뒤덮이다
신당토지구획정리사업에서 제외된 묘산동 토막촌
가난 속에서도 끈질긴 삶, 해방과 함께 맞이한 자유로운 시장
포화가 비켜난 자리에 제각기 들어선 시장, 그리고 부흥주택의 건설
고물에서 금맥 캐는 황학동 시장의 탄생

혜화동, 일제강점기 신흥 계층의 거주지
근대적 시설물의 등장
교통의 정비와 ‘학교촌’의 형성
주거지의 확대
고급주택지 ‘문화촌’의 건설

여의도, 도시개발의 시범이자 반면교사
도시의 이질적인 섬, 여의도
비행장을 없애고 택지를 만들어 낸 윤중제 공사
고층 건물과 블록들을 오가는 가로 사이의 기억
또 다른 여의도 만들기에 대한 의문

강남, 서울 사람 아니고 강남 사람
강남은 ‘어디’일까, ‘무엇’일까
안보와 정치, 강남으로 눈을 돌리다
강남의 탄생, 행정적 지원과 교육의 결정타
모여드는 곳, 강남

장위동, 못다 한 교외 주택지의 꿈은 현재진행형
기찻길을 따라 펼쳐진 교외 주택지의 꿈
재건주택, 부흥주택, 국민주택: 해방 후의 주택공급실험실
언덕 위의 하얀 집, 아니 언덕 위의 거북이집·독수리집
또 한 번 새로운 주택지를 꿈꾸는 장위뉴타운

용산, 우리 동네와 ‘작은 미국’ 사이
서울특별시 용산구 미군기지동?
‘작은 미국’의 흔적
군사도시, 용산
우리 동네, 용산

구로, 미싱은 아직도 돌아가는가
수출산업기지 ‘구로공단’의 탄생|
사계절 반복되는 여공의 애환
시대의 변화, 구로공단의 쇠퇴
IT산업단지로 바뀐 구로공단, 계속 돌아가는 미싱

3 공간의 명암
집, 개발과 빈곤의 연대기
서울시의 인구집중과 무허가정착촌의 확산
도심 내 무허가건축에 대한 서울시의 정책
주민은 돌아올 수 없는 도시(재)개발
도시재생사업과 주거권

백화점, 동경과 허영의 사이
백화점의 등장
동경과 허영, 백화점의 이중적 모습
해방 이후 백화점의 변화
도시민의 일상 공간, 백화점

지하공간, 땅 밑에 펼쳐진 또 하나의 일상
오늘도 나는 지하공간을 경험한다
‘지하공간’이라는 개념에 대해
서울의 지하공간 개발 현황
과거의 지하공간 방공호
1960년대 서울의 도시개발과 지하공간 건설
지하공간은 지상의 도시를 대체할 수 있을까?

하수도, 지하 세계의 거물
지하의 거물, 조선에서 제일 큰 하수도
전통적 ‘열린’ 하수도와 근대의 변화
일제강점기 경성 하수도 사업의 전개와 한계
식민지 권력의 하수도 개선은 왜 실패했나?

도축장, 유혈의 증거를 남기지 마라
관영 도축장의 등장, 동대문 밖과 서대문 밖 ‘대한도수장’
현저동에서 숭인동으로, ‘경성부립도축장’의 통합과 이전
마장동 서울시립도축장의 등장과 시카고 모델
마장동축산물시장의 탄생과 확산
사라진 도축장, 남은 축산물시장

유곽, 금기와 욕망의 경계
유곽의 조선 유입
서울의 유곽 조성
서울의 유곽 입지 조건
유곽의 성행과 조선인 유곽 건설
해방 이후 유곽 폐지와 그 후

깡패, 도시의 이면에 자리한 자들
이익을 좇아 떠도는 도시의 부나방
종로에서 강남까지, 도시개발을 따라 흘러 들어간 깡패
도시건설의 숨은 역군
새로운 이익의 창출을 위하여

 참고문헌
 지은이 소개
 찾아보기    

접속자집계

오늘
24
어제
707
최대
8,002
전체
564,092
도서관 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그누보드5.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서울도시건축센터
전화: 02-739-2900
이메일: sca2022@seoul.go.kr